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탄소중립 NET-ZERO란 무엇이며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요?

by 풀리♡ 2024. 8. 21.

2050년을 목표로 하는 NET-ZERO

 

#1 탄소중립이란?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우리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이고, 흡수량을 높여 실제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을 탄소중립 또는 '넷 제로'(NET-ZERO)라고 합니다. 지구 온난화와 기후 패턴 변화 문제에 대응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이를 위해 각국의 정부와 기업, 그리고 개인이 함께 노력함으로써 극복해야 할 과제입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위험에 처한 지구를 보호하여 미래 세대에게 깨끗하고 건강한 환경을 물려줄 수 있도록 우리나라는 2050년을 목표로 하여 탄소중립을 실천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2 탄소중립 실천 방법

1) 정부

- 우리나라는 2050년을 목표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핵심적인 역할과 정책으로 기후 패턴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여 2050 탄소중립 목표 실현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정책 및 법률 제정 : 탄소중립 목표를 명확히 하여 이를 이행하고 실천하기 위한 기후 법 및 탄소중립에 관련된 법안을 제정하여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재생 가능 에너지 전환 정책을 펼쳐 화석 연료 의존도를 줄이는 정책을 세워 에너지 구조의 전환을 지원합니다. 

탄소 배출 감축 목표 설정하기 : 산업, 교통, 건축 등 다양한 부문에서 탄소 배출 감축 로드맵을 제공하여 구체적인 탄소 배출 감축 방법과 목표를 제시하고 지원하며,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중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세부 계획을 수립합니다.

재정 지원 및 인센티브 제공 : 재생 가능 에너지 프로젝트나 에너지 효율성 개선 사업에 대한 지원 등 직접적인 재정 지원 및 보조금 지원으로 탄소중립 관련 프로젝트와 기술 개발을 활성화시켜 개인과 기업이 더 많은 녹색 기술을 개발하고 도입할 수 있도록 도모합니다.

연구 및 개발 지원 : 탄소중립과 관련된 연구 및 개발을 지원하여 청정에너지 기술,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 등의 효과적인 탄소 감축 방법이 개발되고 새로운 기술이 상용화될 수 있도록 합니다.

인프라 구축 : 전기차 충전소, 재생 가능 에너지 발전소, 스마트 그리드 등을 서치하고 확장해나가는 인프라를 구축합니다.

교육 및 홍보 : 탄소중립의 중요성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과 홍보활동을 실시하여 기업과 개인이 친환경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 : 탄소중립 정책이 실제로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지 그 효과나 성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더욱 발전시켜 나아갈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합니다.

국제 협력 : 기후 변화와 탄소중립 문제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국제적인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파리 협정 등과 같은 국제 협정에 참여하여 글로벌 탄소 감축 노력에 기여하며,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해 나갑니다.

 

2) 기업

- 기업의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노력은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경영을 실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음과 같은 전략들은 기업이 탄소 배출을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장기적으로 기업의 경쟁력도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에너지 관리 : 태양광, 풍력, 수력 등의 재생 가능 에너지를 이용하여 화석 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효율적인 장비와 기술을 도입하여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입니다. 이처럼 에너지 효율성이 올라가면 기업의 입장에서는 에너지 비용도 절감하고, 비용 경쟁력이 강화되어 경제적인 이점도 얻을 수 있어 환경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좋은 점이 많습니다.

탄소 배출 측정과 관리 : 기업의 에너지 사용, 폐기물 관리 등 탄소 배출량이 얼마나 많은지 측정하고 기록하여 배출원과 양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목표를 설정한 후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합니다.

지속 가능한 공급망 관리 : 지속 가능한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공급업체와 협력하고, 공급망의 탄소 배출을 평가, 관리하여 저탄소 공급업체와 협력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제품과 서비스의 탄소 발자국 줄이기 :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을 설계하고 제작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제품의 재활용 가능성을 높이며, 재사용이 가능한 자재를 사용하는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지속적인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노력을 합니다.

탄소 배출 상쇄 : 탄소 배출권 구매 등으로 탄소 상쇄 프로젝트에 투자하여 배출량을 상쇄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전락적인 산림 조성이나 탄소 포집 프로젝트를 자체적으로 운영하여 제도적인 장치 마련을 하여 실천합니다.

지속 가능한 물류 및 운송 :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연료 효율이 높은 차량 등의 친환경 운송 수단을 도입하고 물류와 배송 경로를 효율적으로 계획하여 운송에서의 탄소 배출을 줄입니다.

임직원 교육 및 참여 : 임직원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위해 탄소 배출 감소와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개인적인 실천을 도모합니다.

정책 수립과 지속 가능성 보고 : 탄소 배출량 및 감소 노력을 위한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여 투명하게 보고하며, 이해관계자와 원활한 소통을 합니다.

 

3) 개인

-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로 개인의 노력으로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탄소 배출을 줄이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효율 개선 :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 조명을 사용하고, 전자기기의 대기모드를 최소화합니다. 에너지 스타 인증을 받은 가전제품을 사용하여 생활 속에서 전력 소모를 최대한 줄이도록 합니다. 여름과 겨울에 냉난방을 적절히 조절하여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스마트 온도 조절기를 사용하여 관리하며 단열재 시공으로 냉난방 에너지를 절약합니다.

저탄소 교통수단 이용하기 : 자동차 사용을 줄이고 버스, 지하철, 기차 등의 주요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가까운 거리는 자전거, 걷기 등으로 실천합니다. 

식습관 개선 : 육류 소비를 줄이고 채식 중심의 식단으로 전환하고 지역에서 생산된 음식을 주로 구매함으로써 식품의 운송 거리를 단축시켜 탄소 배출을 줄입니다. 식단 표를 짜는 등 계획적인 식품 관리를 통해 식품 낭비를 줄이고 음식물 쓰레기를 최소화합니다.

쓰레기 줄이기 및 재활용 :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과 일반 쓰레기를 분리하여 배출하고 가정에서 자주 사용하는 일회용 나무젓가락이나 플라스틱 등의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며, 재사용이 가능한 제품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물 절약 : 물 절약형 샤워기나 수도꼭지를 사용하여 물 사용을 줄이고 주기적으로 누수 점검 관리를 합니다. 

친환경 제품 선택 : 되도록이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 에코 제품이나 친환경 인증을 받은 제품을 구매합니다.

교육 및 캠페인 참여와 인식 제고 : 탄소중립과 환경 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환경 교육을 받고 지역의 환경 보호 캠페인이나 활동에 참여하여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개인적인 실천을 위한 노력을 합니다.

 


 

#3 마치며

최근 우연히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짧은 영상을 보게 되면서 환경오염이나 지구온난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더군다나 이번 여름에 잔혹한 찜통더위를 겪으면서 더욱이 심각성을 느끼게 되어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어떤 것이 있을까 생각해 보며 여러 가지 방향으로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이전에 흘려 들었던 탄소중립에 대해 알게 되었고 탄소중립에 대한 정책은 단순히 환경 문제를 넘어, 우리의 삶의 질을 높이고 미래 성장 가치가 있는 정책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부나 기업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이 역시 개개인이 모인 단체이기 때문에 개인의 변화가 사회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저도 그랬지만 일반적인 사람들은 환경 오염, 기후 변화, 지구온난화에 대해 들어보긴 했지만 "나 하나쯤이야", "이번 한 번쯤이야"라고 가볍게 넘기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탄소중립 정책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널리 알리고 탄소중립에 대해 책임감을 가지고 이에 대한 실천 방안이 일상화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 느껴집니다.